우리사상자료실 38

우리전통사상, 동학

우리전통사상, 동학 1.동학과 불교사상 조선사회에 있어 억불숭유정책에 의해 불교는 유학자들의 비판대상이었다. 불교는 충과 효의 인간도리를 다하지 못하고 출가를 하기 때문에 또 면벽과 좌선을 일삼는 허무와 적멸의 도라고 생각했기에 유학자들은 불교를 배척한 것이다. 이에 불교는 그러한 성향에 치우친 예는 있어도 본래의 가르침은 결코 적멸의 도가 아님을 항변해 왔다. 또한 조선사회에서 민중반란에 승려가 빠진적이 없음을 근거로 수운은 성리학을 대체할 이념으로서 삼교를 동학안에 포함시켰고 특히 불교에 있어서는 사유와 민중성을 기존 계급체제를 대신하기 위한 이념으로서 동학에 녹아들었다고 볼수 있다. 동학이 불교적 면모를 지닌다는 것은 모든 만물이 하느님을 모시고 있고, 생명이 있어 평등하며 전체와 개체가 둘이 아닌..

삼교합일사상의 과정

선종은 불교의 기본적인 입장과 관점 및 방법을 고수하는 동시에 노장의 자연주의 철학과 인생관 유가의 성선론등 심성학설을 자신의 선학이론과 수행,해탈관에 융입시켰다. 보리달마의 여도명부에서 신수의 관심간정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노자의 정관기도와 왕필의 성인체무의 사사에 영향을 받았음을 알수 있으며 혜능 남종이 추구한 능소구민,수연이행에서 또한 장자의 도무소부재,물아양망과 곽상의 자연임서,적성소요등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음을 볼수 있다. 선종은 노장 현학의 우주자연론으로부터 심성론으로 전향하였는데 이것은 또 유가의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선종에서 말하고자 했던것은 실제상 노장의 도와 유가의 리를 우주정신 혹은 자가성명으로 통일하는것이었다. 선종은 유가의 충효등의 윤리관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