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장 지속가능하고 생태적인 농장이 되기를 바랍니다. 생태농장은 펜션 개념에서 벗어나 농업, 가공, 휴양사업을 복합하여 사업을 다각화하고 화석에너지 사용을 줄여 지속가능한 경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지역에서는 지역 청소년의 생태학습의 장이나 도농교류사업의 거점이 되도록 합니다. |
|
지역과 함께 |
농장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는 소규모농사를 바랍니다. 로컬푸드(loacal food)로서 지역주민에게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해 주고 지역농민에게 보다 많은 수익이 돌아갈 수 있게 해 주며 지역에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지역 두부공장, 지역 콩나물 공장, 지역반찬가게 등이 가능합니다. 경영방식은 사회적 기업이 되는 경영방식되기를 바랍니다. |
|
다양한 협동조합 역할 |
다양한 협동조합의 역할이 되길 바랍니다. 협동조합은 가장 민주적인 경제조직의 운영방식입니다. 협동조합은 농산물 생산, 유통, 가공, 구매뿐 아니라 의료, 교육, 문화활동까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 지역에는 다양한 활동의 경제주체가 활동할 수 있게 하고 참여형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의 공동체성이 향상됩니다. |
|
공동체가 지원하는 농업 |
공동체가 지원하는 농업은 농산물 거래방식을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신뢰관계에 의해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소비자는 농장이나 마을에 정해진 농산물 구입비용을 지불하고 마을이나 농장은 그 비용에 해당하는 농산물을 품목에 구애받지 않고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통해 농가는 안정적인 소득을 얻게 되고 소비자는 좋은 농산물을 저렴하게 구입하게 되며 가까운 거리에 있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공동체가 형성됩니다. |
|
생산자 직판 |
지역에서 지역의 농민이 직접 자신의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공공기관의 주차장, 운동장 등의 넓은 공간을 활용하여 주말 등을 활용하여 정기적으로 농민이 직접 자신의 농산물을 가져와 팔 수 있습니다. 생산자직판장을 통해 지역의 소농, 가족농, 노후농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지역주민은 안전한 로컬푸드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
|
지역레스토랑 |
지역레스토랑은 지역의 농특산물을 중심으로 지역주민에게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면서 문화적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지역의 농특산물을 소비하고 지역에 음식문화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역에 문화공간이 만들어져 지역의 공동체성이 향상됩니다. |
|
|
|
생태관광 |
현재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정책은 지역의 문화와 정서에 대한 이해보다 관에서 주도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지역사회의 인적 . 물적 . 사회적 자산을 활용하여 관광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여 가족중심,공동체중심의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책임지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생태관광이 되고자 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