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상자료실

삼교합일사상의 과정

우촌k 2021. 2. 13. 13:02

선종은 불교의 기본적인 입장과 관점 및 방법을 고수하는 동시에  노장의 자연주의 철학과 인생관 유가의 성선론등 심성학설을 자신의 선학이론과 수행,해탈관에 융입시켰다. 보리달마의 여도명부에서 신수의 관심간정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노자의 정관기도와 왕필의 성인체무의 사사에 영향을 받았음을 알수 있으며 혜능 남종이 추구한 능소구민,수연이행에서 또한 장자의 도무소부재,물아양망과 곽상의 자연임서,적성소요등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음을 볼수 있다. 선종은 노장 현학의 우주자연론으로부터 심성론으로 전향하였는데 이것은 또 유가의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선종에서 말하고자 했던것은 실제상 노장의 도와 유가의 리를 우주정신 혹은 자가성명으로 통일하는것이었다. 선종은 유가의 충효등의 윤리관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사상 자체로 본다면 유가의 인간 및 인생에 대한 중시와 성선론,사맹학파의 진심지서지천 및 역저의 생생지위이 등의 사상은 모두 선의 정신속에 스며들어 있다고 할수있다.

삼교합일의 사조는 결코 당대에서 시작된 것은아니다. 일찍이 동한 말년 모자의 이혹론 가운데 이러한 사상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본다면 유.불.도 삼교의 충돌과 융합은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하나의 과정을 거친다. 불교가 처음에 전해지기 시작할 때 주로 도가에 의지하고 유가에 영합하면서 생존을 구하였고 여러학가와 학설을 하나의 용광로에 뭍여서 도가사상으로 그 이론의 기둥을 삼았던 중국도교는 초기 창립단계에서 불교를 이용하고 유가에 의뢰하여 발전하였으며 유가는 줄곧 화하문화의 정통으로 자처하면서 현지에서 발새아여 성장한 도교를 용인하고 외국에서 온 불교에 대해서는 비판 혹은 배척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위진 남북조시대에 유학이 독존적인 지위를 상실하고 불교와 도교 양교의 세력이 날로 성해짐에 따라 삼교가 병존하는 가운데 모순과 충돌이 전면적으로 전개되었으며 특히 불교와 도교의 논쟁이 심지어 유혈사태까지 야기하였으나 삼교의 침투와 융합하는 가운데 발전하며 발전하는 가운데 수당시기에 정족으로 세워지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선학과 현학 홍수평저.김진무역 운주사 1999

'우리사상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학농민혁명과 하동  (0) 2021.03.10
동학농민군의 하동전투  (0) 2021.03.10
난세의 풍류정신,황원갑[소설가,역사연구가]  (0) 2020.01.08
동학혁명의 완성  (0) 2019.01.31
남학-영가무도교  (0) 2018.12.10